CMC, 전공의 총정원제 성적표 공개…계속 유지할 듯타기관 문의 이어져…복지부, 사업 확대 고심


[청년의사 신문 김진구]

전공의 공동모집·공동교육을 목표로 하는 ‘병원군별 전공의 총정원제’(이하 총정원제) 시범사업이 10년이란 기간을 거쳐 마무리됐다.

이에 따라 시범사업을 진행해 온 가톨릭중앙의료원의 행보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총정원제란 3차병원급의 대형수련병원과 2차병원급의 중형수련병원이 하나의 병원군을 형성해 전공의를 공동 선발하고 공동 교육하는 통합수련교육 프로그램으로, 수직적 관계인 모자병원제와는 달리 참여병원 모두가 선발 및 교육 과정에 동등한 지위를 갖는 수평적 관계를 갖는다.

지난 13일 가톨릭대학교 의과학연구원 대강당에서는 이러한 총정원제 도입 관련 공청회가 개최돼 10년간 진행된 시범사업 결과를 평가하는 시간이 마련됐다.

지난 2002년 1월 시작된 총정원제에는 ▲서울성모병원 ▲여의도성모병원 ▲의정부성모병원 ▲부천성모병원 ▲성바오로병원 ▲인천성모병원 ▲성빈센트병원 ▲대전성모병원 등 가톨릭중앙의료원(CMC) 산하 8개 병원과 ▲청주성모병원 ▲창원파티마병원 등이 참여했다.

정부의 전공의 정원 감축정책에 대비하고 수련병원의 전공의 인력수급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도입된 총정원제는 1~2차에 걸친 시범사업에 총 1,177명의 전공의가 참여했으며, 2012년도 후반기 전공의 모집 때까지 운영됐다.

총정원제 성적표는…10점 만점에 7점

이날 공청회에 참석한 관계자들은 총정원제 시범사업에 대해 “효과는 있었지만 보완할 점도 분명히 있다”는 결론에 의견을 모았다.

시범사업 결과를 발표한 가톨릭중앙의료원의 오승택 수련교육부장은 “서울성모병원과 여의도성모병원 등 모병원 역할을 하는 병원은 이론위주의 고난이도 진료를, 나머지 자병원 역할 병원은 술기위주의 빈발질환 진료를 중심적으로 교육했다”고 설명했다.

그에 따르면 전공의 공동선발·공동교육의 대원칙을 유지하면서 1차 사업은 균등한 교육기회와 병원 배정을 제공하는 것에, 2차 사업은 전공의에게 주교육병원 선택권을 부여해 집중 교육을 제공하는 것에 초점을 뒀다.

이에 따라 인턴은 희망하는 2개 병원에 지원해 6개월씩 수련받고, 레지던트는 주교육병원을 선택해 수련기간 동안 주교육병원에서 2년(±6개월), 다른 3~5개 병원에서 남은 기간 순환교육을 받았다.

오 부장은 “총정원제는 전공의 확보에 유리하고 다양한 임상경험을 쌓을 수 있으며 참여병원간 교육의 평준화, 병원간 환자의뢰, 부속병원의 학생실습교육 등에 장점이 있다”고 평가했다.

반면 지나친 순환으로 인한 전공의의 소속감과 책임감 저하, 지도교수 및 지도전문의의 지도책임감 저하, 병원 배정에 대한 불만, 모 역할 병원의 유연성 감소 등은 단점으로 지목됐다.

오 부장은 “특히 큰 문제였던 전공의의 소속감 저하를 막기 위해 2차 사업 때부터는 주교육병원제를 실시했으나 완전히 해결하지는 못했다”며 “병원별, 과별 특성을 고려한 주교육병원제도의 안정적 운영이 필요하다”고 평가했다.

오 부장은 이어 “총정원제는 전공의 수급불균형을 해소하면서 양질의 교육을 제공할 수 있는 점에서 현행 독자병원제나 모자병원제의 문제점을 어느 정도 개선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제안했다.

공청회에 참석한 다른 관계자들 역시 대체적으로 비슷한 평가를 내렸다.

대한의학회 김재중 수련교육이사는 “총정원제는 전공의 확보에 유리하고 특성화 교육을 통한 다양한 임상경험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전공의의 소속감 및 책임감 저하, 병원배정에 따름 불만, 불합리한 순환교육 일정에 따른 불만, 일부 병원의 유연성 감소 등의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말했다.

서울성모병원 김성훈 교수는 “독자병원제나 모자병원제, 총정원제 모두 현재 제기되는 전공의 선발 및 수련교육의 문제점을 모두 해결할 수는 없다. 다만 총정원제가 전공의 선발 불균형을 해소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교육 부분에서는 보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부민병원 정춘필 부원장은 “여전히 서울-지방간 불균형은 해소하지 못했다. (시범사업에 참여한) 소규모 병원의 목소리는 반영되지 못해 아쉽다. 경영상 어려움을 겪는 지방 중소병원은 큰 병원의 행정, 인적관리 시스템을 따라가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작은 병원에 대한 배려가 필요하다”고 토로했다.

이에 보건복지부 의료자원정책과 정우진 사무관은 “수련교육의 질적 부분에서는 독자병원과 모자병원의 문제점을 어느 정도 해결했다고 본다”며 “수련병원간 전공의 인력활용, 수련교육 통일화 시스템은 긍정적”이라고 평가했다.

시범사업 종료, CMC의 미래는?

한편 시범사업의 종료에 따라 지난 10년간 총정원제를 통해 전공의를 선발해오던 가톨릭중앙의료원의 이후 행보에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2013년도 상반기 전공의 선발전까지 확실한 결론이 내려지지 않을 경우 가톨릭중앙의료원은 독자병원제나 모자병원제 둘 중 하나로 전공의를 선발해야 한다.

여기에서 복지부가 선택할 수 있는 선택지는 세 가지다. 첫째는 시범사업을 종료하면서 총정원제를 마무리하는 것이고, 둘째는 본사업으로 확대하는 방안이며, 마지막으로 시범사업을 연장하면서 가톨릭중앙의료원을 비롯한 다른 병원의 참여를 받는 방안이다.

이에 대해서는 마지막 방안인 시범사업 연장 쪽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정우진 사무관은 “총정원제에 대한 찬반으로 나눠서 생각할 문제가 아니다. 이 제도를 계속 운영했을 때 어떤 문제가 있고 어떻게 해결하는지 등에 대해 진행 과정마다 일선 관계자들이 계속적으로 참여해서 개선해야 한다”고 말했다.

공청회에 참석한 일부 병원관계자들은 총정원제에 참여하고 싶다는 의향을 나타내기도 했다.

이대목동병원 교육수련부 관계자는 “예전에 모자병원제로 전공의를 모집해보니 전공의 모집이 잘 됐었다. 이를 확대해 총정원제에 참여하고 싶은데 정부는 이에 대한 견인책이 있느냐”고 물었다.

인제대병원 관계자 역시 “지방병원의 전공의 수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우리도 (총정원제를) 해야하는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라며 “복지부는 지역별 및 권역별에 대한 사업계획이 있는지 궁금하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정우진 사무관은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의견을 수렴하겠다. 다만 병원 특성에 따라 총정원제가 어울릴 수도, 모자병원제가 어울릴 수도 있다. 이에 대한 판단은 각자가 알아서 해야 한다”고 답변했다.

한 참석자는 “복지부 입장에서는 사업을 종료하면서 발생하는 혼란과 본사업으로 확대했다가 발생할 문제점 등을 모두 피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며 “특히 몇몇 병원에서 총정원제 참여에 관심을 보이는 점을 감안하면 이들이 참여하는 새로운 형태의 시범사업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